'20배 빠른' 5G? 통신3사 철퇴 맞았다
SK텔레콤, KT, LGU+ 등 국내 이동통신 3사가 5G 서비스에 대한 과장 광고로 거액의 과징금이라는 철퇴를 맞았다.이번 과징금은 역대 두 번째 거액에 해당한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정부가 5G 상용화 과정에서 기술적 한계를 보였던 28㎓를 홍보에 활용한 것은 마찬가지라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공정위에 따르면 통신 3사는 자사의 5G 서비스에 대해 ▲실제 사용환경에서 구현할 수 없는 기술 목표를 실제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것처럼 광고 ▲최대지원속도를 소비자가 실제 이용할 수 있는 것처럼 광고 ▲객관적 근거 없이 자신의 5G 서비스가 경쟁사보다 빠르다고 광고했다.SK텔레콤[017670]과 KT[030200], LG유플러스[032640]는 24일 공정위 과징금 부과 결정에 대해 "의결서를 받는 대로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해 대응 여부 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168억3천만원으로 가장 큰 과징금이 부과된 SK텔레콤 관계자는 "통신 기술 특성에 따라 이론상 속도임을 충실히 설명한 광고임에도 법 위반으로 판단한 결정은 매우 아쉽다"는 반응도 보였다.5G 상용화의 주역이었던 3.5㎓ 대역 주파수와 달리 28㎓가 상용화 초기 기술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었음에도 빠른 속도를 강점으로 내세운 것은 통신사나 통신 당국이나 마찬가지라는게 통신업계의 반박이다.이동통신 3사는 28㎓ 주파수가 지닌 한계를 이유로 결국 이달 말 SK텔레콤을 끝으로 28㎓에서 손을 뗀다.이를 보완하려면 주파수가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도록 지금보다 더 촘촘한 기지국 장비 구축이 필요하지만, 투자금에 비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28㎓ 주파수로 LTE보다 최고 20배 빠른 5G를
2023-05-24 15:31:09
국내 이동통신사 5G 다운로드 속도 비교...1위는?
SK텔레콤[017670]이 국내 통신사업자 가운데 5세대 이동통신(5G)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16일 영국 시장조사기관 오픈시그널에 따르면 SKT는 5세대 이동통신 평균 다운로드 속도 부문에서 471.1Mbps(초당 메가비트)로 국내 이동통신사 가운데 1위에 올랐다.LG유플러스[032640]는 396.5Mbps로 2위, KT[030200](395.0Mbps)는 근소한 차이로 3위를 차지했다.5세대 이동통신 평균 업로드 속도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SKT가 40.6Mbps로 가장 앞섰고, LG유플러스(34.3Mbps), KT(32.3Mbps) 순이었다.전체 통신 다운로드 속도에서는 SKT가 129.9Mbps로 1위였다.KT(101.0Mbps), LG유플러스(92.9Mbps)가 그 뒤를 이었다.업로드 속도는 SKT와 LG유플러스가 17.0Mbps로 같았고, KT는 13.2Mbps였다.접속 시간 비율을 지칭하는 '이동통신 가용성' 지표에서는 통신 3사가 나란히 99.7∼99.8%를 기록했다.5세대 이동통신 가용성 지표에서는 KT가 38.2%로 1위를 차지했다.SKT(34.6%)가 2위, LG유플러스(33.1%)가 3위였다.5세대 이동통신 도달 범위에서는 LG유플러스가 10점 만점에 7.3점으로 가장 앞섰다. SKT(7.2점)가 근소한 차이로 2위, KT(6.9점)가 3위를 기록했다.오픈시그널은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통신 3사의 5G 28GHz 기지국 수가 당초 주파수 할당 조건에 미치지 못한다는 판단에 따라 주파수 할당을 취소하거나 이용 기간을 단축했다는 점도 지적했다.보고서를 작성한 이안 포그 오픈시그널 애널리스트는 "출시 전부터 기대치가 높아 다소간 실망이 따랐다"면서도 "이용자들이 5세대 이동통신 요금제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2-12-16 11:21:01
서울서 5G가 제일 잘 터지는 통신사는?
서울에서 5G가 가장 잘 터지는 통신사는 어디일까?이는 3대 주요 통신사 중 KT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신망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LG유플러스였다. 부산에서는 KT의 5G가 제일 잘 터지고 SK텔레콤이 가장 빨랐다.28일 IT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루트메트릭스가 지난 4월 26일부터 5월 14일까지 서울과 부산에서 통신3사의 이동통신 성능을 비교한 결과 KT의 5G 가용성이 서울 99.3%, 부산 96.4%로 두 곳에서 모두 가장 높았다. 가용성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시간 중 5G에 실제로 접속 가능한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LG유플러스의 가용성은 서울에서 98.2%, 부산에서 88.7%였고, SK텔레콤의 가용성은 서울에서 98%, 부산에서 86.9%로 조사됐다. 서울에서 5G와 LTE, 5G·LTE 혼합까지 모두 활용해 측정한 다운로드 속도는 LG유플러스가 663.4Mbps로 가장 빨랐다. 이어 SK텔레콤 614.8Mbps, KT 585.5Mbps 순이었다.부산에서는 SK텔레콤이 721Mbps로 KT의 568.1Mbps, LG유플러스의 544.7Mbps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2-07-28 09:53:00
"아유 속터져"…5G 안터졌던 이유는?
LTE보다 10배 빠르다고 알려진 '5G'는 이통사들의 홍보와 달리 잘 잡히지 않아 사용자들이 의문을 제기한 가운데 그 이유가 밝혀졌다.이동통신 3사가 설치한 전체 5G 무선국 중, 실외 용도인 기지국이 94%를 차지하는 반면 실내용인 중계기는 6%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이는 LTE의 중계기 비중이 33%인 것에 비해 턱없이 낮은 비율이다. 최근 이통사들은 실외 커버리지를 확대했다고 소비자들을 현혹했지만 정작 체감 품질을 좌우하는 음영지역 해소, 속도 향상 등의 문제는 외면한다는 비판이 나온다.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이통업계에 따르면(2021년 12월 기준) 이통 3사의 5G 무선국 46만대 중 기지국은 43만대(94%)이고 중계기는 3만대(6%)로 나타났다.기지국은 실외 지역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로 주로 건물 외벽이나 옥상에 설치돼있다. 반면 중계기는 기지국에서 보낸 전파가 닿기 힘든 실내 음영지역 품질을 개선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LTE의 경우 총 231만개의 무선국 중 기지국이 155만대(67%), 중계기는 76만대(33%)가 설치되어 있다.지난해 말 과기정통부가 조사한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에 따르면 5G 서비스의 실외 커버리지는 전년보다 252.1% 증가했지만, 다중이용시설과 인빌딩(실내) 커버리지는 각각 58.3%, 38.4%로 소폭 증가했다.이에 대해 업계는 이통사들이 실외에 비해 품질이나 커버리지 비교가 어려운 실내는 투자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통신 3사가 제공하는 5G 서비스 커버리지 지도도 실외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업계 관계자는 "5G 서비스가 상용화 4년차를 맞았는데도 품질 문제는 여전한데 설비 투자는 감소하는 추세"라며 "정부가 주파수 할당을 비롯해
2022-04-18 09:30:39
서울 지하철, 연말부터 5G 와이파이 '빵빵'
올해 말부터 서울 지하철 2호선과 5~8호선 전동차 안에서 5G 통신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4월 말까지 지하철 전동차에 28㎓ 대역 5G 시설 구축을 완료하고, 하반기까지 열차 내 와이파이 설치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16일 전했다.이에 따라 이들 2호선, 5~8선 객차 안에서 5G 28㎓ 와이파이 정식 서비스가 연말부터 제공된다.조경식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이날 오전 0시 30분께 서울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을 직접 찾아 5G 28㎓ 기지국 현장을 점검했다.한강진역에 5G 28㎓ 장비를 구축 중인 KT[030200]는 이날 해당 대역 장비의 특징과 설치 공법,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안전 사항 강화 현황을 설명했다.조 차관은 "코로나19 확산과 심야 시간 공사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 공사 현장 관계자들의 노고가 크다"며 "지하철을 이용하는 국민들이 고품질 통신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5G 28㎓ 구축에 힘써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2-02-16 14:04:41
정부, 5G 휴대전화·전자벌레퇴치기 전자파 측정 결과 공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생활 제품과 공간에서 나오는 전자파에 대한 국민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5G 휴대전화와 기지국, 생활제품 및 공간 등 총 6종에 대해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 전자파인체보호기준을 모두 만족했다고 말했다. 이번 측정은 실환경에서의 5G 휴대전화 전자파흡수율, 무선 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음파진동운동기, 벌레퇴치기 등 생활제품과 승강기 기계실 주변에 대한 전자파를 측정 및 분석했다. 음성데이터 통화, 대용량메일 전송, 동영상 시청 등 실제 사용 환경에서 5G 휴대전화의 전자파흡수율을 측정한 결과 기존 대비 1.5~5.8%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제 고용량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내려 받는 경우가 아닌 고화질 동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시청하는 경우 전자파 강도는 더 낮았으며, 5G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의 전자파 측정값은 기준 대비 1%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자파 측정대상 생활제품 3종에 대해 최대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대비 1% 미만으로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승강기 기계실 주변은 일반인이 아파트 최상층에 거주하거나 승강기를 이용하는 경우 기계실에 가장 근접할 수 있는 지점인 건물 마지막 운행층에서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인체보호기준 대비 1% 미만으로 조사됐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생활 속 전자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국민들의 측정신청을 통한 생활 제품 및 공간 전자파 측정결과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0-07-08 17:30:51
"코로나는 5G 때문"…해외 황당 음모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의 원인이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 때문이라는 황당한 음모론이 일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퍼졌다. 5G에 반대하는 페이스북 그룹 'Stop5G'는 2만6000명이 가입한 음모론자 커뮤니티로, 이들 사이에서는 5G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서로 연관됐다고 주장하는 게시물이 최근 인기를 얻고 있다. 이와 매우 유사한 성격의 영국 페이스북 그룹 'STOP 5G U.K'에서도 별반...
2020-03-10 17:4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