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한 마을서 5명 중 3명은 유산...이유 보니 '충격'

입력 2024-06-27 13:54:50 수정 2024-06-27 14:45:44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일본 한 마을에서 발암물질이 포함된 수돗물을 쓴 주민들에게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26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달 과불화화합물(PFAS) 농도와 정수정 정보 등 실태 파악을 요청하는 문서를 전국 47개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에 발송했다. 최근 발암성 화학물질인 PFAS로 오염된 수돗물을 사용한 마을에서 잇따라 심상치 않은 일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PFAS가 일본수도협회 통계 검사항목 중 하나지만, 급수 인구 5000명 이상 대형 수도만 대상으로 했다. 전국 단위로 수돗물 현황 조사가 시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PFAS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기불소 화합물을 일컫는다. 이 성분의 유해성은 최근에서야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자연에서도 분해가 잘 이뤄지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forever chemicals)이라고 불린다.

지난해 10월 오카야마현의 한 마을 수돗물에서 PFAS가 1400나노그램(ng)이나 검출됐다. 이는 일본의 안전 기준치인 1리터당 50ng의 28배에 달한다.

마을에는 100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데, 이곳에 사는 60대 여성은 혈액 검사 결과 1밀리리터(ml) 혈액 당 362.9ng의 PFAS가 검출됐다. 이는 미국 학술기관에서 주의를 경고한 20ng/㎖의 18배다. 혈액 검사를 받은 마을 주민 27명 모두 이 수치를 웃돌았다고 NHK는 보도했다.

결국 이 여성은 '이상지질혈증'을 진단받고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받아야 한다.

NHK 조사에 따르면 주민들의 혈액 검사 결과지에서 유산 경험이 도드라졌는데, 마을 주민 30대~40대 여성 5명 중 3명이 유산을 경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마을의 43세 여성은 13년 전 도쿄에서 이 마을로 이주한 뒤 3번이나 유산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NHK는 "PFAS의 높은 혈중 농도와 유산 위험이 연관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최근 몇 년간 해외에서는 (이들이) 관련 있다고 결론 내린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수돗물 수질 목표치 등을 재정비할 방침이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06-27 13:54:50 수정 2024-06-27 14:45:44

#일본 , #수돗물 , #산케이신문 , #PFAS , #유산 , #임신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