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질병관리청 제공 / 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이 2028년까지 국산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범정부 통합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등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
질병청은 18일 국내 제약 바이오 기업 등을 대상으로 향후 감염병 대유행(펜데믹)에 대비해 국내 기업의 연구 및 개발을 지원하는 '펜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 설명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5~2028년 비임상부터 임상에 이르기까지 mRNA 백신 플랫폼 개발 연구를 지원하고, 코로나19 mRNA 백신 품목허가를 목표로 시행된다.
앞서 질병청은 다음 펜데믹 가능성이 높은 감염병에 대한 백신 시제품과 mRNA 플랫폼 등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mRNA를 활용해 만든 백신으로, 화이자와 모더나 등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대표적이다.
mRNA 플랫폼 백신은 개발이 까다롭지만, 만드는 데 성공하면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만 갈아 끼워 넣는 방식으로 변이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질병청은 국내 코로나19 유행 당시 국산 백신이 없어 수급과 비용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었다고 보고, 국산 mRNA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따라 mRNA 백신 개발의 비임상부터 허가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예산을 과감하게 투입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해소하는 등 기술적·제도적 지원을 추진할 방침이다. 범정부 통합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지원사업을 통해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국내 기술을 검증하고, 펜데믹에 대비한 백신을 미리 개발해 수급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질병청은 우선순위가 높은 바이러스에 대한 mRNA 플랫폼 기반의 백신 시제품을 사전에 확보하면, 실제 펜데믹 발생 시 100~200일 내 신속히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mRNA 등 백신 핵심기술은 신종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국가 전략기술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며 "국내 자체 기술을 통해 백신을 개발하면 안정적으로 국내에 백신을 공급할 수 있고, 세계 수출시장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