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BD.39193602.1.jpg)
16만년만에 찾아온 혜성 C/2024 G3 (아틀라스) / 연합뉴스
밝은 빛을 내는 혜성이 16만년 만에 지구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곧 육안 관측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영국 BBC 방송은 13일(현지시간) 미국 국립항공우주국(NASA)에서 발표한 정보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NASA에 따르면 '혜성 C/2024 G3(아틀라스)'는 이날 궤도에서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일점' 근처를 지나고 있다.
근일점을 지날 때 이 혜성과 태양 사이는 약 1천400만㎞ 떨어져 있다.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지구에서 보이는 이 혜성의 밝기가 정확히 어느 정도일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가장 밝게 빛날 때는 금성과 맞먹는 밝기일 수 있다. 또 올해 보이는 혜성 중 가장 밝을 가능성이 있다.
이 혜성은 이날 밤부터 며칠간 육안 관측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BBC는 설명했다. 특히 지구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에서보다 육안 관측이 더 쉬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 혜성은 작년 4월에 NASA가 운영하는 '소행성 지구충돌 최후경고 시스템'(ATLAS·아틀라스)에 의해 발견됐다.
NASA 우주비행사인 비행 엔지니어 돈 페티트는 이 혜성의 사진을 X(엑스·옛 트위터)에 올리고 "궤도에서 혜성을 보는 것은 정말 경이적이다. C/2024 G3 혜성이 우리에게 오고 있다"고 전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