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BD.39466076.1.jpg)
shutterstock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최근 10년 내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서 대규모 유행 중이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늘었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병원급 의료기관 210곳에서 장관감염증을 표본 감시한 결과, 노로바이러스 환자 수는 지난해 11월 1주 차부터 지속해서 증가해 지난달 4주 차(1월 19~25일) 기준 469명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10년 내 최고 수준이다.
설 명절이었던 지난달 5주 차 환자 수는 347명이었지만, 연휴로 인해 환자 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4주 차 기준 전체 환자 중 1세 미만이 9.2%, 1∼6세가 42.2%로 0∼6세의 영유아의 비중이 51.4%를 차지했다.
통상 노로바이러스는 늦가을부터 이듬해 초봄까지 영유아를 중심으로 유행한다.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지하수) 또는 어패류 등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환자의 비말에 의한 감염도 가능하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잠복기를 거쳐 12∼48시간 이내에 구토와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복통, 오한, 발열이 동반되기도 한다.
대부분 2~3일 후 낫지만, 면역을 유지하는 기간이 짧아 이미 걸렸었던 사람도 재감염될 수 있다. 예방 백신도 없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 소독제보다는 비누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게 좋다. 식재료는 흐르는 물에 세척해 8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충분히 익힌 뒤 섭취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 환자는 증상이 사라진 후 48시간까지 등원, 등교 및 출근을 자제하고, 화장실 등 생활공간을 다른 가족과 구분하는 게 바람직하다. 화장실에서 배변 후 물을 내릴 때 비말을 통한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선 변기 뚜껑을 닫아야 한다.
로타바이러스도 유행 중이다.
로타바이러스 환자 수는 지난달 4주 차 기준 12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5% 증가했다. 전체 환자 중 1세 미만이 9.8%, 1∼6세가 30.9%로 0∼6세 영유아 비중이 40.7%다.
로타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와 유사한 경로로 감염되며, 감염 시 24∼72시간 안에 구토, 발열,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보통 4∼6일 증상이 지속된다.
로타바이러스는 기저귀나 장난감 등에 묻은 오염물이 손과 입에 묻으면서 쉽게 전파된다. 특히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등에서 감염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로타바이러스는 정부가 영아를 대상으로 무료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백신 접종이 가능한 의료기관과 보건소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됐다면 증상이 사라진 후 24시간까지 등원, 등교 및 출근을 자제해야 하며, 조리 업무 종사자나 보육시설·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환자는 증상이 소실된 후 48시간까지 근무를 중단해야 한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2-10 17:20:23
수정 2025-02-10 17: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