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BD.39495887.1.jpg)
shutterstock
국내 기업이 임신 가능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솔루션과 세계 최초로 안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 등 최신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를 개발했다.
11일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은 '2025년 10대 대표과제 성과보고회'를 열고 정부 지원 연구개발(R&D) 사업의 성과를 공개했다. 이 사업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지원한다.
사업단은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총 1조2천억원을 투입해 의료기기 기술개발과 임상·인허가 및 제품화에 이르는 전주기를 지원하며, 지금까지 총 437과제에 9천876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로 세 번째인 이번 성과보고회에서 사업단은 46개 기업의 연구과제 중 지원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10대 과제를 발표하고 시상했다.
올해 선정된 10대 주요 과제는 '난임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AI 배아 분석 디지털 치료기기', '녹내장 안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 '세계 최초로 탄생한 안과 급속냉각 마취기기', '췌장암 항암제 전달 효과 향상이 가능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기', '인공지능 기반 패치형 웨어러블 심장질환 관리시스템' 등이다.
내달 20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제40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KIMES 2025)에 이들 10대 대표과제가 전시될 예정이다.
김법민 사업단장은 "정부의 R&D 지원이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견인하고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지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