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통화나 음악 감상 시 주변 소음을 없애주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젊은 층의 청력과 뇌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BBC 방송이 최근 보도했다.
17일(현지시간) BBC는 소피라는 25세 여성의 사연을 소개했다. 그는 영국의 한적한 시골 마을에서 자랐지만, 몇 년 전 런던으로 옮겨와 대학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남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 '멍하게 있는다' 등의 지적을 받았다.
그는 "소리가 나는 건 들을 수 있지만 어디서 나는지 알기 어렵고, 사람 목소리인 건 알겠는데 그 목소리를 빠르게 해석할 수 없다"며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는 것도 어렵고, 일상생활에서도 대부분의 소리가 소음으로 느껴졌다"고 털어놨다.
청력 검사 결과 소피는 '정상' 범주에 속했으나, 추가 검사를 진행한 결과 뇌가 소리와 말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각정보처리장애(APD) 진단을 받았다.
검사를 진행한 전문가는 평소 사용하던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을 APD 유발 원인으로 지목했다. 소피는 하루에 최대 5시간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을 이용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 소피 같은 APD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이즈캔슬링 기능이 탑재된 무선 이어폰·헤드폰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이즈캔슬링은 기기에서 주변 소리를 차단하는데, 이는 고주파나 큰 소리가 귀를 손상시키지 못하게 방지할 수 있어 청력을 보호한다는 장점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이 기능은 길에서 자동차 등 주변 소리를 듣지 못하게 해 야외에서 위험을 알아차리기 어렵고,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일을 잊게 만들어 판단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 청각학과 5곳에 따르면 최근 청력 문제로 병원에 온 젊은이들의 수가 늘었고, 대부분 청력이 정상이지만 소리를 처리하는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페리얼 칼리지 헬스케어 NHS 트러스트'의 청각학 임상책임자인 르네 알메이다는 "뇌가 무엇에 집중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며 "귀로 '듣는' 것과 듣고 '이해하는' 것은 차이가 있다. 리스닝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 청각학회 부회장인 클레어 벤튼은 인터뷰에서 "뇌가 가진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듣기 능력'은 10대 후반이 돼야 비로소 발달이 완료된다"며 "10대 후반까지 노이즈 캔슬링을 사용하는 환경에 있었다면, 말과 소음을 처리하는 능력 발달이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