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입학식 '썰렁'...학생 없어 문 닫는 초·중·고 전국 49개

입력 2025-02-23 20:25:13 수정 2025-02-23 20:25:13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줄어드는 학령인구와 저출생으로 올해 49개 초·중·고교가 문을 닫는다. 이 중 88%(43곳)는 지방 학교였다.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폐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폐교를 앞둔 초·중·고교는 총 49곳으로, 이는 지난 5년간 집계된 폐교 수 가운데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폐교는 2020년 33곳, 2021년 24곳, 2022년 25곳, 2023년 22곳으로 감소하는 듯하다 지난해 33곳으로 급격히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는 한 곳도 없었고, 경기에서 6곳이 폐교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3곳은 모두 지방에 있었다.

최다 폐교 예정지는 전남(10곳)이었고, 이어 충남(9곳), 전북(8곳), 강원(7곳) 순이었다. 특별·광역시는 부산(2곳)과 대구(1곳) 두 지역이 포함됐다.

학교급별로 보면 폐교 예정 49곳 가운데 초등학교가 38곳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가 8곳, 고등학교는 3곳이다.

입학생이 없었던 초등학교도 112곳(휴교·폐교 제외)에 달했다.

진 의원이 받은 '신입생 없는 초등학교 현황(2024년 4월 기준)' 자료에 따르면 입학생 없는 초등학교는 전북이 34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북(17곳), 경남(16곳), 전남·충남(각 12곳), 강원(11곳) 순이었다.

올해는 그 숫자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번 달 초·중순 각 시도교육청이 취합한 현황에 따르면 1학년이 없는 초등학교는 경북만 42곳으로 예상되며, 전남 32곳, 전북 25곳, 경남 26곳, 강원 21곳 등으로 추정된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2-23 20:25:13 수정 2025-02-23 20:25:13

#입학생 , #초등학생 , #초등학교 , #저출생 , #어린이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