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학자금 대출 부담과 취업난을 피해 '화이트칼라' 대신 '기술직'을 선호하는 미국 Z세대가 늘고 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천은 2일(현지시간) 해리스 폴이 인튜이트 크레딧 카르마를 위해 시행한 조사 결과, 젊은 세대 중 78%가 몸을 쓰는 기술직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목수, 전기기사 등 기술직은 수입이 높고, 스스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젊은 세대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학 학자금 대출에 시달릴 필요 없이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대학 학위가 없는 25~34세 남성들은 육체노동이 필요한 트럭 운전, 건설 노동 등에 종사하고 있다.
피우 연구소는 대학을 나오지 않고 일하는 남성에게 가장 인기 있는 직업으로 운전·판매원 및 트럭 운전사 건설 노동자, 화물 운송 및 일반 노동자, 판매 직군의 현장 감독관, 요리사 및 조리사를 꼽았다.
미국에서 이들의 수입은 적지 않다. 트럭 운전사는 연평균 6만2000달러(약 8600만원)에서 최대 10만1000달러(1억4000만원), 건설 노동자는 최대 6만2천달러, 현장 감독관은 5만6000~9만4000달러(약 1억3745만원)를 번다.
특히 요리사는 학위 없이도 고연봉을 받을 수 있는 직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문 셰프는 연 최대 17만3000달러(2억4000만원)를 벌 수 있고 학위가 없어도 된다. 처음에는 레스토랑 주방에서 요리사로 시작해 경력을 쌓아가며 연봉 4만7000달러(약 6870만원)를 받을 수 있다.
피우 연구소에 따르면 대학 학위가 없는 젊은 여성은 고객 서비스 직원, 간호 보조·정신 건강 및 가정 건강 관리 보조, 판매 직군의 현장 감독관, 계산원, 웨이트리스 등의 직업을 선호하는 추세다.
고객 서비스 직원의 경우 연 5만6000달러(약 8188만원), 계산원은 5만 달러(약 7300만원), 웨이트리스는 6만6000달러(약 9650만원)를 벌 수 있다.
높은 등록금과 학자금 대출 부채로 인한 부담 때문에 미국 Z세대 사이에서 대학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포천은 이런 이유로 많은 젊은이가 직업학교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국립학생정보센터에 따르면 2023년 직업 교육 중심의 커뮤니티 칼리지 등록률이 16% 증가했고, 건설 관련 전공자 증가율은 23%, 냉난방 프로그램 등록자 증가율은 7%를 기록했다.
또 2023년 기준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직업은 풍력터빈 기술자로, 최대 연봉이 무려 10만3000달러(1억5056만원)로 알려져 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