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한소아청소년 병원협회가 이들을 중심으로 독감 관련 횡문근융해증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4일 협회에 따르면 그동안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소아 B형 독감과 관련한 횡문근융해증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협회가 회원 병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근육통, 보행장애, 짙은 색 소변 등 임상 증상 건수는 78건이었다. 대부분 5~12세였고 횡문근융해증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64%는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태였다.
횡문근융해증은 팔과 다리 등 움직임이 있는 부위의 골격근인 횡문근이 고체에서 액체로 융해되는 것을 뜻한다. 근세포 내 물질들이 혈액으로 빠져나오면서 갑작스러운 근육통이 발생하고, 검붉은색(콜라색) 소변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횡문근융해증은 강도 높은 신체활동 이후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소아에게서는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칫 급성 신장 손상과 같은 합병증으로 악화할 수 있어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최용재 협회 회장은 "B형 독감은 일반적으로 경증이지만, 일부 아동에게는 바이러스성 횡문근융해증이라는 심각한 후유증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독감 후 회복 중인 아동에게서 갑작스러운 근육통, 걷기 어려움, 진한 색 소변이 나타날 경우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횡문근융해증은 조기에 발견하면 충분한 수액 치료와 전해질 조절만으로 회복할 수 있다"며 "독감 회복기에 아이에게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검사를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14주차(3월 30일∼4월 5일) 의원급 의료기관의 외래 환자 1천명당 독감 의심환자 수는 16.9명으로 4주 연속 증가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13∼18세(56.1명)와 7∼12세(53.8명)가 가장 많았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