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아이 낳을래요” 서울시 출산 의향 ↑, 비법은 ‘이것’

입력 2025-04-18 14:00:20 수정 2025-04-18 14:32:52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서울시의 저출생 위기 극복 방안인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가 시행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에 따르면 해당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한 이후 서울시민의 자녀 출산 의향이 상승하고, 시에 대한 양육친화도가 높아졌다.

16일 서울시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정책 성과를 검증하고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실시한 '양육행복도시정책 성과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성과평가는 2022년 8월 첫발을 뗀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이다. 연차별 대표사업의 추진 목표 달성도를 점검하고, 서울 양육자 서베이를 통해 정책 체감도까지 확인해 '서울시 양육친화도'와 '양육어려움 경감도', '(추가)출산의향' 등을 성과지표로 삼았다.

2023년 추진한 세부 사업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평가 결과, 19개 성과지표 중 16개 지표가 우수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4년 8월 시민 1천6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양육자 서베이에서 '서울이 아이를 낳고 키우기 좋은 육아친화적인 도시다'라는 양육자의 인식이 반영된 서울시 양육친화도는 5점 만점에 3.56점을 기록했다. 이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작 전인 2022년(3.30)보다 0.26점 오른 점수다.

출산의향은 무자녀 부부 68.5%, 유자녀 부부 30.3%로 나타났다는데, 이는 전년(무자녀 부부 56.5%·유자녀 부부 27.3%)에 비해 무자녀 부부와 유자녀 부부가 각각 12%포인트, 3%포인트 오른 수치다.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2024년 기준 서울시 정책 유경험자와 무경험자를 비교한 조사 결과, 정책 유경험자의 출산의향은 90.9%로 정책 무경험자(65.7%)보다 훨씬 높았다.

유자녀 부부의 경우도 정책 유경험자의 출산의향(36.9%)이 무경험자(16.2%)의 2로 2.3배 수준에 달했다. 다만 성과지표 가운데 양육 어려움 경감도는 '보통', 양육친화시설 충족률과 양육친화시설 등급은 '미흡'으로 평가됐다.

정책 대상과 전문가 모두에게 효과성이 높다고 평가받은 사업은 '서울형 아이돌봄비', '365일! 24시간! 영유아 긴급보육 지원', '서울 엄마아빠택시 운영', '어린이집 석식 지원', '서울형 가사서비스' 5개 사업이 었다고 시는 전했다.



김주미 키즈맘 mikim@kizmom.com
입력 2025-04-18 14:00:20 수정 2025-04-18 14:32:52

#출산 , #서울시 , #탄생응원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