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청소년기에 충분히, 일찍 자는 수면 패턴이 인지 기능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받는다.
최근 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중국 푸단대학 공동 연구팀의 이 같은 연구 내용이 실렸다. 연구팀은 미국 청소년 뇌 인지 발달 프로그램에 등록된 청소년 3222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진은 연구 대상 청소년들을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는 그룹(평균 7시간 10분 수면)', '중간 그룹(평균 7시간 21분 수면)', '일찍 자고 오래 자는 그룹(평균 7시간 25분 수면)'으로 나누고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면패턴을 확인한 뒤 인지능력, 뇌 구조 간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그 결과, 인지 테스트 점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일찍 자고 오래 자는 그룹이었고, 중간그룹,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는 그룹 순서로 점수가 높았다. 뇌 스캔을 통해 이들의 뇌를 살펴본 결과 일찍 자고 오래 자는 그룹의 뇌 용적이 가장 크고 기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세 그룹 간 학업 성취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진은 "잠을 자는 동안 기억이 강화되면서 인지능력이 발달한다"며 "수면 시간의 작은 차이가 누적돼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준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청소년기 뇌 발달과 정서 안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미국 수면의학 아카데미는 청소년 하루 수면 시간을 8~10시간으로 권장하고 있다.
연구진은 "청소년들이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늦은 밤 휴대전화 등 스마트 기기 사용을 자제해 수면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