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 남성보다 임금·노동참여율 너무 낮다...英 외신 진단은?
한국이 일하는 여성에게 열악한 환경이라는 지표가 13년째 나오고 있다. 북유럽 국가와는 대조되는 결과다.3월 8일 '여성의 날'을 앞둔 5일(현지시간)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을 포함한 29개국의 '유리천장 지수'(The glass-ceiling index)를 발표했다. 한국은 28위로 간신히 꼴찌를 면했다.이코노미스트는 매년 일하는 여성의 소득, 유급 육아휴직 현황, 노동 참여율 등 10개 지표를 점검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2013년부터 이 같은 지수를 매기고 있다. 지수가 낮을수록 일하는 여성의 환경이 열악하다는 의미다.한국은 지난해까지(2023년 기준 조사) 12년 연속으로 꼴찌를 기록해오다 올해 겨우 한 계단 상승한 28위를 기록했다.일하는 여성에게 가장 환경이 좋은 나라는 스웨덴이었고, 그 뒤를 아이슬란드, 핀란드, 노르웨이 등이 이었다.북유럽 국가들이 13년째 상위권에 오른 이유는 양성평등과 일하는 부모를 지원하는 정책 덕분으로 분석된다.반면 튀르키예는 지난해 28위를 기록한 뒤 한단계 더 내려가 꼴찌를 기록했고, 일본도 27위에 올라 예년과 마찬가지로 최하위권을 면치 못했다.이코노미스트는 OECD 국가에서 대학을 졸업한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높지만, 노동참여율은 여전히 낮다고 진단했다. 노동 가능 인구 중 남성은 81%가 직장에 다니고 있지만 여성은 66.6%만 일하고 있다는 것이다.남녀 노동참여율 격차에서 한국 여성의 노동참여율도 남성보다 15.9%p 낮았고, 튀르키예는 37.3%p, 이탈리아는 18.1%p로 격차가 큰 편이었다.낮은 경제활동 참여율은 경력 개발을 방해해 남녀 임금 격차에도 영향을 미쳤다.OECD 국가의 여성 평균 임금은 남성보다 11.4% 낮았는데,
2025-03-06 14:00:29
여성의 날, 한국 '유리천장 지수'는? …"한심한 수준"
일하는 여성의 환경을 나타내는 지표인 '유리천장 지수'에서 한국이 여전히 꼴지를 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믹스가 8일 여성의 날을 맞아 발표한 자료에서 종합 20점대(100점 만점)를 받아 조사대상 29개국 중 최하위권에 머물렀다.한국은 2013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시작된 유리천장 지수 평가에서 올해까지 총 10년 동안 최하위를 유지했다.스웨덴은 80점을 넘어 1위에 이름을 올렸고,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핀란드 등 다른 북유럽 선진국가들이 그 뒤를 이어 상위권을 이뤘다.하위권에는 미국(20위), 독일(21위), 영국(24위), 일본(28위) 등이 올라왔다.유리천장 지수(The galss-ceiling index)는 남녀 고등교육 격차와 소득격차, 여성의 노동 참여율, 고위직 여성 비율, 육아비용, 남녀 육아휴직 현황 등 세부 지표를 전체적으로 종합해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점수를 산출한다.이 분야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사실은 해당 국가에서 일하는 여성의 환경이 전반적으로 열악하다는 것을 뜻한다.한국은 남녀 소득격차 29위(최악), 관리직 여성 비율 29위, 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 29위, 여성 노동 참여율 28위, 남녀 고등교육 격차 28위, 의회 여성 의석 비율 27위 등 대다수 부문에서 낮은 평가를 면치 못했다.이를 통해 한국 여성이 다른 선진국 여성보다 사회적 권한이 작고 노동시장에서 소외되는 수준이 높으며, 심각한 소득 불평등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 남녀소득 격차가 무려 35%"라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고작 59%로 남성의 79%에 비해 현저히 낮다"고 지적했다.정부가 여성의 사회적 권한을 높이기 위해 추진
2022-03-08 11:27:24
'2018여성포럼' 전혜숙 "유리천장 깨기 민간으로 확산시켜야"
전혜숙 국회 여성가족위원장은 "유리천장 깨기 노력을 민간까지 확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혜숙 국회 여성가족위원장은 8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8 아시아여성리더스포럼에서 강연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전 위원장은 "각국 여성에 대한 유리천장을 지수로 바꾼 것을 보면 우리나라 여성 관리직은 10.5, 여성 임원은 한자리 수인 2.4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 중 꼴찌"라면서 "여성 불평등을 구조화시키는 원인 중 큰 것이 바로 유리천장"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성의 정치 참여가 확대되면 이는 사회 전반의 여성의 활동 범위를 넓히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여성의 정치 참여가 늘고 여성 국회의원이 늘어나면 여성 고위 공직자도 늘릴 수 있고, 기업의 여성 임원도 늘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성 국회의원 비율이 37%에 달하는 독일 사례를 들며 "독일도 심각한 남녀차별이 존재했지만, 수십년만에 획기적으로 변했다"면서 "독일이 할 수 있었다면, 우리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지현 키즈맘 기자 jihy@kizmom.com
2018-11-08 13:28:57
[일요일의 오프더레코드 육아]②'더 나은 내일'을 위한 부모의 기대
출 근길 교통체증 못지않게 정체된 사회 이동의 길 . 과거보다 현저히 줄어든 20~30 대의 계층이동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두터워지는 유리천장을 실감케 한다 . 2016 년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에 따르면 상위 10% 가구의 교육비 지출은 소득 하위 10% 가구의 교육비 지출에 10 배 , 사교육비 지출은 13 배의 차이를 보였다 . 소득의 격차는 교육비 지출의 격차로 , 교육비 지출의 격차는 교육기회의 ...
2018-02-11 10: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