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 하면 CT찍고 피 뽑고...선 넘은 '과잉 검사' 딱 걸렸다
일부 병원에서 CT 촬영 같은 고가의 검사와 혈액 검사 등을 과하게 시행했다는 분석이 나왔다.27일 서울 여의도 건보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에서 열린 미디어아카데미에서 정기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2023년 코로나19 환자에게 CT 검사를 유독 많이 한 병원들에 대한 자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이 자료에 따르면 CT 검사율이 가장 높았던 A 병원은 코로나19로 치료받은 환자 8천602명 중 30.6%에 달하는 2천630명에게 CT 검사를 시행했다. 이 병원에서 코로나19로 외래나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 10명 중 3명이 고가의 CT 검사를 받은 셈이다.두 번째로 검사율이 높았던 B 병원도 코로나19 환자 1천904명 중 528명(27.2%)에게 CT 검사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CT는 X-선을 이용해 인체의 단면 영상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검사로, 이를 통해 단순 X-선 촬영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인체 내부의 다양한 구조물(뼈, 혈관, 장기 등)을 횡단면 3D 영상 등으로 구현해 자세하게 볼 수 있다.코로나19 입원 진료를 받은 환자로 범위를 좁히면 이들 병원의 CT 촬영률은 97.2%에 달한다. 건보공단은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폐렴 여부를 진단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지만, 호흡기내과 전문의인 정 이사장은 "폐렴은 CT로 진단하는 병이 아니다"고 지적했다.그는 "통상 폐렴은 X-선 검사에서 폐렴에 해당하는 침윤과 백혈구 수치 증가, 숨 가쁨, 가래 등의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진단한다"면서 "CT 촬영률이 97.2%라는 건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는 이런 진단 과정과 상관없이 무조건 CT를 찍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정 이사장은 코로나19 치료제가 충분히 공급되는 상황에서 특별한 증상이 없는 환자에게 무
2025-03-28 14:48:39
유방 엑스선 촬영 시 환자 피폭선량 최소화 기술 개발
유방 엑스선 촬영 시 환자의 피폭선량을 알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부가 개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환자 피폭선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 질병관리청이 '21년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질병의 진단에 이용하는 유방엑스선 촬영 시 환자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선량평가 프로그램(ALARA-M)을 개발했다고 13일 공식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주요 촬영법에 대한 검사 면적을 선택할 수 있고, 유방 엑스선 촬영의 검사조건을 입력하여 피폭선량을 평가할 수 있다.또한 선량평가 결과를 엑셀 및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과 유방 엑스선 촬영 진단참고수준을 제공하는 등 사용자의 활용성과 편의성을 높였다.진단참고수준이란 환자의 피폭선량을 적정 수준 이하로 낮추기 위해 영상의학 검사 시 받는 환자 피폭선량 분포의 75% 수준을 권고하는 값이다. 백경란 질병관리청 청장은 "선량평가 프로그램은 단순히 장치에서 발생되는 선량이 아닌 실제 환자가 받는 피폭 영향을 반영한 유효선량을 제공하기 때문에 환자 피폭선량 관리 및 의료기관 이외에 연구기관 등에서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국민 의료방사선 안전관리기반 마련을 목표로 전문가 의견수렴 및 관계기관 협조를 통해 국민들이 이용하는 일반 엑스선 촬영, CT(컴퓨터단층촬영), 치과촬영 등 모든 의료방사선에 대한 피폭선량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9년 한 해 동안 국민이 엑스레이 촬영 등 의료방사선 검사를 받은 횟수가 2016년에 비해 약 20% 증가한 했으며, 이로 인한 연간 피폭선량도 동기 대비 25% 정도 늘어났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해 발표되기도 했다. 김경림
2022-06-13 10:5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