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를 빨아먹는 암컷 모기는 살충제에 노출됐다 살아남은 후에 이를 피하는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등장했다.
이는 지난 수십년 동안 강화된 모기의 살충제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기 방제책을 수립할 때 모기의 이같은 인지력과 살충제 내성을 고려할 중요 변수로 지적됐다.
영국 킬(Keele) 대학교 응용 곤충학·기생충학 교수 프레데릭 트리펫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뎅기열과 지카 바이러스 등을 옮기는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와 '열대집모기'(Culex quinquefasciastus) 등을 대상으로 살충제 내성을 실험한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이들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연구팀은 두 종의 모기를 흔히 쓰이는 모기 살충제인 유기인계 '말라티온'이나 '프로폭서' 등 6개 종류에 노출시킨 뒤 추가 노출에 대응하는 모기 반응을 살폈다.
그 결과, 살충제에 노출된 적이 있는 모기들은 흡혈할 대상을 찾아다니는 과정에서 살충제를 뿌려놓은 망을 피해 다니는 비율이 그렇지 않은 모기들보다 높았다.
살충제 노출 모기 중 살충제 처리된 망을 통과한 모기는 이집트숲모기 15.4%, 열대집모기 12.1%에 그쳤지만, 살충제를 겪어보지 않은 모기에게서는 각각 57.7%와 54.4%로 나타났다.
살충제 처리된 망에 통과한 모기의 생존율에서도 이전에 노출된 적이 있는 모기는 이집트숲모기와 열대집모기가 수십 년간 각각 38.3%와 32.1%로 비노출 모기의 11.5%와 12.9%의 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쉴 곳을 찾아 다닐 때에도 살충제 노출 경험이 있는 모기들은 10마리 중 7~8마리가 살충제 냄새가 나는 곳을 피해다녔지만, 살충제 경험이 없는 모기들은 이런 비율이 절만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해 살충제 노출 후 생존한 모기들이 살충제의 후각적 자극을 해로운 영향과 관련지을 수 있어 이를 피하게 되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피를 빨 대상이나 쉴 곳을 찾아 번식을 꾀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