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의 올바른 사용법이 주목받고 있다.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따르면 자가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면봉을 콧구멍 1.5~2cm 깊이의 콧벽에 닿도록 한 상태로 양쪽 각각 10회씩 원을 그리며 문질러야 한다.
자가검사 정확도를 높이고자 자가검사키트에 들어있는 면봉을 코 안쪽까지 무리하게 찔러 넣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권장되지 않는다.
스스로 하는 자가검사키트는 신속항원검사 방식으로, 보건도 등에서 쓰이는 PCR 검사 방식과 다르다. 따라서 아무리 콧속 검체를 많이 채취하도 PCR 수준의 정확도는 기대하기 어렵다.
또 감염 초 정확도가 매우 낮아, 바이러스가 많이 배출되기 시작하는 증상 발현 시점부터 일주일 내 사용해야 민감도가 높아진다는 점도 자가검사키트의 한계다.
개인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은 자가검사키트에서 안내하는 사용 방법을 그대로 지키는 것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자가검사는 코 점막세포의 바이러스를 면봉으로 채취하는 방식이라, 면봉이 점막 표면에 닿기만 하면 된다"며 "무리하게 힘을 줘 상처가 나면 오히려 세균 감염 우려가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 사용 설명서를 그대로 따른다 해도 '가짜 양성'과 '가짜 음성'이 나올 확률은 여전히 존재한다.
국내 식약처가 허가한 자가검사키트는 모두 민감도 90%, 특이도 99%라는 기준을 임상적 성능시험에서 충족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4명 중 1명이 감염되지 않았음에도 양성 반응이 나오는 '가짜 양성' 결과를 얻는다.
이는 허가 시 정확도의 판별 기준으로 사용된 민감도, 특이도와 선별진료소 검사에서 실제로 확인된 '양성 예측도'가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다.
임상적 성능시험에서는 감염자와 비감염자가 정확히 누구인지 확인된 상태로 양성, 음성 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때문에 결국 실험환경은 통제된 상태다.
반면 실제 현장에는 감염 여부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자가검사를 진행하고, 양성이 나온 사람 중 PCR 검사를 한번 더 진행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이 비율은 감염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며, 감염된 사람이 많을수록 높아지고 감염자가 적을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같은 신속항원검사라도 자가검사키트보다는 호흡기전담클리닉 등에서 검사 받을 것을 권하고 있다.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같은 방식을 쓰는 신속항원검사라도 어느 부위에서, 누가 검체를 채취하느냐에 따라 정확도가 다르다"며 "보건의료인이 콧속 깊은 곳(비인두)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신속항원검사는 자가검사키트보다 10∼20%가량 정확하다"고 말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