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거리도 자전거를 이용하면 훨씬 수월하고 빠르게 갈 수 있다. 전동킥보드 등 전기를 이용한 PM(개인형 이동장치)과 마찬가지로 공공자전거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 교통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아파트 주민 등 시민들의 반발로 인해 오히려 동네에서 쫓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직장인 박모(26)씨는 따릉이 애용자로, 집 근처 대여소에서 따릉이를 타고 지하철역까지 가면 3분 밖에 걸리지 않아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지난달부터 갑자기 따릉이 대여소가 사라지는 바람에 지하철역까지 10분 가량 걸어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그는 "따릉이를 타면 집에서 역까지 3분 정도 걸렸는데 이젠 10분 걸린다. 이미 끊어놓은 정기권도 자주 이용하지 못하게 됐다"고 안타까워했다.
철거된 따릉이 대여소는 공원 근처에 있어 인기가 좋았지만 주민들의 민원도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서울시 따릉이 대여소는 '집값이 떨어진다'거나 '장사에 방해된다'는 등 항의에 의해 철거되는 사례가 많다.
24일 서울시의 '따릉이 대여소 철거 사유'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철거된 따릉이 대여소 95곳 중 '폐쇄요청 민원'에 따른 철거가 65곳으로 전체의 68.4%를 차지했다. 민원 때문에 철거되는 따릉이 대여소가 열흘에 1곳씩 나오는 셈이다.
이밖에 사유로는 '공사로 인한 보도 점유'가 19(20.0%)건, 보도폭 등 문제로 더 이상 설치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운영 불가'는 11건(11.6%)였다.
한 네티즌은 대여소를 새로 설치해달라고 구청에 요구했다가 "인근 아파트 주민들 반대로 이미 설치했던 대여소가 철거된 상태"라는 답변을 받기도 했다.
그는 "인근 브랜드 아파트 입주민들이 자전거를 '서민 교통수단'이라고 생각하는 것인지, 이유가 전혀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고급 아파트일수록 '집값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따릉이 대여소를 선호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전했다.
상가의 경우 간판이 가려진다거나 보행에 불편하다며 대여소를 철거해달라는 민원도 제기된다.
문제는 한 번 철거하면 인근에 새로운 대여소를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대여소를 새로 만들려면 후보지를 선정한 뒤 보도 폭을 3m 이상 확보하고 점자블럭을 침해하지 않는지, 소화전이나 전기·통신 시설을 방해하지 않는지 검토해야 한다. 사유지인 경우 토지 소유권자와 협의가 필수다.
그러나 따릉이 대여소가 지난해 기준 2천600곳을 넘어서면서 이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장소는 이미 포화 상태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 시내 후보지는 이미 한계치에 다가가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는 따릉이가 모든 시민의 발이 되기 위해서는 시민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한다고 진단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따릉이가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도 대여소를 철거해달라는 일부 고급아파트 주민의 민원은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따릉이가 혐오시설은 아니기 때문에 님비(NIMBY) 현상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고장난 자전거를 방치하거나 바구니에 쓰레기가 쌓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면 일부 지역의 배타성과 폐쇄성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