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환자는 무슨 죄?" 집단휴진 '불참' 선언한 교수들

입력 2024-06-14 12:45:05 수정 2024-06-14 15:50:00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이달 18일 예고된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집단휴진에 분만병의원협회, 대한아동병원협회가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힌 가운데, 대학병원 뇌전증 전문 교수진도 불참을 선언했다.

대학병원들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이루어진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위원장 홍승봉)는 14일 언론 보도자료를 통해 "뇌전증은 치료 중단 시 신체 손상과 사망의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질환으로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며 "협의체 차원에서 의협의 단체 휴진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며 불참 의사를 전했다.

협의체는 또 "의협의 단체 휴진 발표로 많은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이 혹시 처방전을 받지 못할까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다"며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은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면 사망률이 일반인의 50-100배로 높아진다"고 휴진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뇌전증에 대한 지식이 없고 치료하지 않는 의사들은 처방하기 어려우며 일반약국에서 대부분 (약물을) 구할 수도 없다"며 "항뇌전증약의 일정한 혈중 농도를 항상 유지해야 하므로 단 한 번 약을 먹지 않아도 심각한 경련이 발생하여 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협의체는 의협 등의 집단행동과 관련해 "환자들의 질병과 아픈 마음을 돌보아야 하는 의사들이 환자들을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을 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며 "잘못이 없는 중증 환자들에게 피해와 고통을 주지 말고, 차라리 삭발하고 단식하면서 과거 민주화 투쟁과 같이 스스로를 희생하면서 정부에 대항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냈다.

이어 "전공의 사직 후 115일 동안 수많은 중증 환자들과 가족들이 극심한 고통과 피해를 보고 있다"며 "의대생과 전공의는 빨리 돌아오고 의사단체들은 과학적인 근거 수집과 분석으로 정부에 대항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먼저 아픈 환자들을 살리고 전 세계 정보 수집, 전문가 토론회 및 과학적 분석을 통해 2026년 의대정원을 재조정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전 국민의 공분을 피할 수 없고, 나아가 전 세계 의료인과 주민들의 비난을 받게 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한편 의협 집단휴진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 등 교수 단체가 동참 의사를 밝혔지만, 개별 진료과 의사 중심으로 불참 선언도 나오고 있다.

먼저 분만병의원협회가 진료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대한마취통증의학회도 필수적인 수술에 필요한 인력은 병원에 남아 진료를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지난 13일에는 대한아동병원협회가 "의협의 투쟁에 공감하지만, 환자를 두고 떠나기 어렵다"며 진료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06-14 12:45:05 수정 2024-06-14 15:50:00

#의협 , #집단휴진 , #교수 , #대학병원 , #대한의사협회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