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가 상승 원인 10%는 '이것' 때문
최근 우리나라 물가 상승의 원인 중 일부에는 이상기후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이상기후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01∼2023년 우리나라 이상기후지수(CRI)와 산업생산, 소비자물가상승률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이상기후가 성장(산업생산)은 늦추고 물가는 더 끌어올린 것으로 추정됐다.CRI는 5가지 요인(이상고온·이상저온·강수량·가뭄·해수면높이)을 바탕으로 기준기간보다 얼마나 이상기후 정도가 심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이번 연구에서 이상기후 충격은 발생 시점으로부터 약 12개월 뒤 산업생산 증가율을 0.6%포인트(p) 낮췄다. 반대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충격 후 약 3개월 만에 0.03%p 더 높아졌다. 물가 품목별로는 식료품, 과일, 채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자유무역협정(FAT) 체결국과의 교역 비중 등을 활용해 수입을 통한 대체 효과를 배제하면, 이상기후에 따른 인플레이션 추가 상승 폭은 0.08%p(0.03+0.05%p)까지 커졌다.아울러 1980∼2000년 시기보다 최근(2001~2023년) 들어 이상기후가 성장·물가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지속성이 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23년 이후 월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이상기후가 평균 약 10%를 차지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8-19 18:18:38
막아놨던 장바구니 물가 속속 올라…내달부터 본격화
다음 달부터 장류와 초콜릿 등의 가격이 오른다. 우선 국내 1위 업체인 샘표식품은 다음 달 중순 자사 간장 제품 가격을 평균 7.8% 인상한다고 예고했다. ‘샘표 양조간장 501’의 가격은 11.8% 오른다.샘표식품의 장류 제품 가격 인상은 약 2년 만이다. 앞서 샘표식품은 2022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장류 평균 가격을 11.5% 인상했다. 조미김 가격도 오른다. 동원F&B는 다음 달 1일부터 자사 ‘양반김’ 전 제품 가격을 평균 15% 올린다. 주요 품목인 ‘양반 들기름김 (식탁 20봉)’은 9480원에서 1만980원으로 15.8%, ‘양반 참기름김(9봉)’은 4780원에서 5480원으로 14.6% 판매가가 인상된다. 앞서 CJ제일제당도 김 가격을 11∼30% 인상했다. ‘CJ비비고 직화 들기름김’(5g 20봉), ‘CJ 비비고 직화 참기름김’(4.5g 20봉) 가격을 8980원에서 9980원으로 1000원(11%) 올리고 ‘CJ 명가 재래김’(4g 16봉)은 5380원에서 6980원으로 1600원(30%) 올렸다. 아울러 다음 달 1일부터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롯데웰푸드 ABC초콜릿(187g)은 4780원에서 5280원으로 10.5% 인상된다. 가나마일드(70g)는 1920원에서 2240원으로 16.7% 오르고 빈츠(240g)도 4780원으로 6.7% 오른다. 역시 초콜릿 주 원료인 코코아 가격 상승 때문이다.건전지 가격도 오른다. ‘질레트 마하3’ 면도기 가격은 1만3100원에서 1만4500원으로 10.7% 오르고 ‘듀라셀’ 건전지 17종도 약 9% 인상된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5-27 14:17:38
"전엔 썩혀서 버렸는데"...과실 물가 격차 '역대 최대'
사과 가격은 물론 대체제인 다른 과일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과실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훌쩍 뛰어넘었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은 40.6%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3.1%보다 37.5%포인트 높았다. 이는 과실 물가 통계를 잡기 시작한 1985년 이후 약 40년 만에 가장 큰 격차다. 기존의 최대 격차는 1991년 5월 집계된 37.2%포인트였다.지난달 잡힌 과실 물가 상승률(40.6%)은 1991년 9월(43.7%) 이후 32년 5개월 만에 가장 높다. 이상기온으로 수확량이 크게 줄어 가격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대체제인 다른 과일값도 올랐다.지난달 사과 물가 상승률은 71.0%로 1999년 3월(77.6%)과 작년 10월(74.7%)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70%를 넘겼다. 사과 물가 상승률,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간 격차는 67.8%포인트로 역대 세 번째로 컸다.또한 배 물가 상승률은 61.1%로 1999년 9월(65.5%) 이후 24년 5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의 격차는 58.0%포인트 벌어져 1999년 9월(64.7%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복숭아 물가 상승률은 역대 최고 기록을 넘어섰다. 1976년 7월에 기록한 기존 최고치(61.2%)보다 높은 63.2%를 나타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격차도 60.1%포인트로 역대 가장 컸다.감은 55.9%로 1994년 8월(69.7%) 이후 2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고 참외는 37.4%로 2010년 5월(42.9%) 이후 13년 9개월 만의 최고였다.귤값도 역시 78.1%의 상승률을 나타내 2017년 9월(83.9%) 이후 6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수박(51.4%), 딸기(23.3%), 체리(28.0%) 등의 가격도 크게 뛰었다.최근 가격이 개당 최대 8천원까지 치솟으며 '금(金)사과'가 된 사과는 마땅한 대체 상품이 없는 데다 수입이 어려워
2024-03-12 14:49:48
50년 간 물가 얼마나 올랐나...'고추장 27배 상승'
서민들이 많이 찾는 라면 가격은 약 50년간 8배로 올랐고, '국민주'로 꼽히는 소주 가격은 14배가 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물가협회는 창립 50년을 맞아 '10월호 월간 물가자료'에 지난 50년간 주요 품목 가격을 비교한 결과를 수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주요 품목별 가격 변동을 보면 라면 가격은 1978년 1개(120g) 100원에서 1993년 230원, 1998년 410원, 2008년 600원, 올해 820원으로 올랐다. 국수는 1978년 1봉(900g)에 155원이었으나 1993년 1천130원, 2008년 2천400원, 올해 2천790원이 됐다. 올해 가격은 지난 1978년과 비교하면 18배 수준이다. 소주 360㎖ 기준 가격은 지난 1974년 95원에서 올해 1천370원으로 14배로 올랐고, 맥주 가격은 같은 기간 360㎖ 기준 235원에서 1천580원으로 7배로 상승했다. 고추장 가격은 1978년 500g 기준 200원에서 올해 5천490원으로 27배가 됐다. 농산물을 보면 쌀 가격은 1983년 1㎏에 813원에서 올해 4천200원으로 5배가 됐고, 배추 2.5㎏ 가격은 1978년 267원에서 올해 3천980원으로 15배로 올랐다. 수산물 가격을 보면 '국민 생선' 고등어 가격은 30∼40㎝짜리 한 마리가 1988년 800원에서 올해 4천580원으로 6배로 올랐고, 오징어 1㎏ 가격은 같은 기간 600원에서 5천400원으로 9배가 됐다. 한편 휘발유 가격은 리터(L)당 올해 1천710원으로 1974년 206원의 8배로 올랐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10-16 13:49:02
라면값 14년만에 최고로 비싸졌다
지난달 라면의 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4.04로 전년동월 대비 13.1% 올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던 2009년 2월 14.3% 이후 14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라면은 지난해 10월 11.7%의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5월까지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농심은 지난해 9월 라면 출고가를 평균 11.3% 인상했으며 팔도, 오뚜기도 10월 제품 가격을 9.8%, 11.0% 각각 인상했다. 11월에는 삼양식품이 라면 가격을 평균 9.7% 올렸다. 라면을 비롯해 주요 가공식품, 외식 가격도 전반적으로 상승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의 먹거리 지표인 가공식품과 외식 부문의 세부 품목 112개 중 27.7%인 31개의 물가 상승률이 10%를 상회했다. 잼은 35.5%로 가장 높았고 치즈(21.9%), 어묵(19.7%), 피자(12.2%), 두유(12.0%), 커피(12.0%), 빵(11.5%), 햄버거(10.3%), 김밥(10.1%), 김치(10.1%) 등도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3-06-05 16:25:49
문고리만 잡았는데 돈이 줄줄 새…무서운 물가
문손잡이만 돌려도 지출로 연결되는 현실에 서민들이 지갑을 단단히 닫는 모양새다.13일 통계청에 따르면 대표적인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 지수가 지난 1월 기준 103.9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 109.4와 비교하면 5.03% 하락한 것으로 국내 소비가 5% 감소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특히 의복·신발·가방 등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가 상품을 의미하는 준내구재 소매판매액 지수가 119.3에서 111.5로 6.5% 하락했다. 이 항목에 포함된 의복의 경우 지난해 가을을 거치면서 올해 1월까지 소매판매액 지수가 7.6% 급락했다.음식료품 소매판매액 지수도 9.6% 급락했다. 아울러 음식·숙박업 서비스업 생산지수도 4% 가까이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안 먹고, 안 입는 추세였다고 볼 수 있다. 정부는 이달 말쯤 내수 진작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03-13 16:19:22
술로 애환 달래기도 힘들어져…소주·맥주 등 가격 상승
주류 중 국내에서 특히 인기가 높은 소주, 맥주 등의 가격이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 가격은 전년 대비 5.7% 상승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의 11.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것. 그 동안 주류 물가 상승률은 1998년 이후 대부분 2% 이하였으나 작년에 소주는 7.6% 올라 2013년 7.8%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맥주는 5.5% 상승해 2017년 6.2%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이처럼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이유로는 소주와 맥주 원·부자재 가격이 올랐기 때문에 출고가 또한 인상되어서다. 아울러 맥주에 붙던 세금을 포함해 물류비, 인건비 등도 오른 여파가 컸다. 한편 올해에도 주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중론이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02-19 15:18:47
1분기 생필품 가격 평균 2.2% 상승…달걀은 53% 인상
올해 1분기 생활필수품 가격이 평균 2%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달걀은 50%가 넘게 가격이 상승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나 1분기 생활필수품 38개 품목의 가격이 지난 해 같은 시기와 비교했을 때 평균 2.2% 상승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가운데 21개 품목의 가격이 인상됐고, 평균 상승률은 5.4%였다.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달걀(53.0%)이었다. 두부(17.4%), 식용유(7.4%), 즉석...
2021-04-30 10:53:39
써브웨이, 내달 4일부터 가격 인상…100~400원 오를 예정
전세계적인 샌드위치 브랜드 써브웨이가 다음 달 4일부터 제품 34종을 100~400원 폭으로 인상한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이후 1년 2개월 만의 가격 인상으로, 평균 인상률은 1.67%다. 제품 가운데 '풀드포크'는 100원이 올라 5천900원에서 6천원, '이탈리안 비엠티'는 5천200원에서 5천400원으로, '로티세리 바비큐 치킨'과 '로스트 치킨'은 5천900원에서 6...
2021-04-22 10:50:49
4월 기초연금 물가상승 1.9% 반영 ···최대 20만9960원
전년도 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하여 기초연금 급여액이 인상됨에 따라 다음달부터 인상된 기초연금액을 지급받게 된다. 기초연금 급여액은 전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률(1.9%)를 반영하여 단독가구는 월 20만6050원에서 20만9960원, 부부가구는 32만9680원에서 3만5920원으로 오른다. 기초연금은 오는 9월 최대 25만 원으로 인상된다. 노인의 생활 안정을 위해 기준연금액을 25만원으로 인상하는 기초연금법 개정안은 지난달 2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민연금연구원이 기초연금 수급자 1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수급자의 77.9%가 기초연금이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다. 기초연금 수급 후 수급자들이 느끼는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병원 가는 부담 감소(50.5%), 미래에 대한 불안감 감소(45.2%), 원하는 것을 살 수 있게 됨(41.3%) 등에서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기초연금 수급자들은 수급 전에 비해 일상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48.6%), 기초연금 수급이후 미래에 대한 전망이 낙관적으로 변한 것(35.2%)으로 나타났다. 기초연금의 주 사용처는 식비(62.9%), 보건의료비(22.8%), 주거비(7.9%) 순으로 조사됐다.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
2018-03-05 10:14:10